이 지도는 영국의 왕립아시아협회한국지부에서 발행한
『Transaction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1900∼1912)의 합본 6권 중
제3권 (1900년 간행)의 부록으로 있던 것이다.
이 지도는 정사각형의 방안 81개(세로와 가로에 9개씩 있는데 세로는
1에서 9까지, 가로는 A부터 I까지)안에 도성의 안팎을 정확하게 측량하여 그렸다.
측량자, 측량집행기관, 발행연도, 축척 등은 밝히지 않았으나 지명, 도로, 건물,
산하 등은 한글과 한문으로 정확하게 표기하였다. 또 북쪽은 북한산과 도봉산 일대까지
압축하여 그렸으나 남쪽은 남산에서 한강변까지만 그렸다. 즉, 한강은 그리지 않았다.
도성의 성곽은 다섯줄을 함께 나란히 긋고 그 위에 톱니처럼 그려 성곽의 높이와
생김새를 나타냈다.
이 지도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500년 동안 광화문 앞 육조(六曹)거리의
호조(戶曹)와 사조(史曹) 사이에 있는 한성부(漢城府) 청사가 서대문 밖에 있는 경교(京橋) 옆으로 옮겨져 있는
점, 정부 부처의 이름과 위치가 바뀐 점(六曹가 八衙로), 이 지도제작 때 측량을
담당했던 기관인 양지아문(量地衙門;1898∼1902년 사이에 존속)이 도지부(度支部)와 농부(農部) 사이에 있는
점, 영은문과 모화관 대신에 독립문(1898년 12월 준공)과 독립관이 있다는 점 등이다.
이 지도의 축척은 1:12,500이다. |